• [연재] 김인서와 논어 읽기(16)
    • 제2편 위정(爲政)
      2-2 사무사(思無邪) - 시경(詩經)의 정신
    •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.
      “『시경』의 시들은 그 주제와 내용, 표현이 각양각색이지만 그 정신은 하나같이 숭고하고 순수하다. 따라서 그 311편을 한마디 말로 개괄하여 말한다면 「노송·경편」에 나오는 ‘사무사(思無邪)’라는 그 한 구절이 될 것이다.”


      ▶직역
      子曰(자왈)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. “詩三百(시삼백) 『시경』 삼백 편에 一言以蔽之(일언이폐지) 한마디의 말로써 그것을 덮으니 曰思無邪(왈사무사) ‘생각에 사악함이 없다’는 것이다.”

      ▶해설
      ○詩三百: 『시경』 삼백 편
      『시경』에 실린 시 311편을 어림수로 이른 말. 공자 당시 전하는 시는 3000편 정도였는데, 공자가 이를 산정(刪定)하여 311편으로 엮었다고 전해진다. 그중 6편은 산일(散佚)되고 현재 『시경』에 수록되어 전하는 시는 305편이다.

      ○一言以蔽之: 한마디의 말로써 그것을 덮다
      한마디 말로써 개괄하여 말한다는 뜻.
      △以: 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내는 개사. ‘一言’과 도치됨. △蔽: 동사로서 ‘개괄하다’, ‘뭉뚱그리다’의 뜻. △之: 지시대사로서 ‘詩三百’을 가리킨다.

      ○曰思無邪: ‘생각에 사악함이 없다’이다
      △曰: 동사로서 보통 ‘말하다’의 뜻이나 이 경우는 ‘~이다’로 새김. ‘是’와 같다. △思無邪: 『시경』의 「노송(魯頌)·경편(駉篇)」에 나오는 시구.

      시경을 알기 쉽게 풀이한 시전이미지 출처 부평역사박물관
      『시경』을 알기 쉽게 풀이한 『시전』(이미지 출처: 부평역사박물관)

      글쓴이: 김인서(민들레피앤씨 대표)
    Copyrights ⓒ 시경신문 & www.sikyungnews.com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
  •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
시경신문로고

대표자명: 김승련 | 상호 : 시경신문 | 주소 :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365 4층
신문등록번호: 대구,아05520 | 신문등록일자 : 2025년 6월23일 | 발행인: 김승련 편집인: 김승련 청소년보호책임자: 김승련
전화번호: 010-2735-4513 | fax번호 : 0504-466-6730 | 이메일 : sikyungnews@naver.com
공익제보 : sikyungnews@naver.com | 사업자번호 : 639-62-00918